지난 100년 동안 세계는 많은 면에서 발전했지만, 우리의 교육 구조는 상대적으로 거의 변하지 않았습니다. 교실 조직과 정보 전달 방식에서 일부 점진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발달 모델, 공식 교육 과정의 진행 방식, 성적과 학위로 학습을 인정하는 체계는 여전히 변화에 저항적입니다. 우리는 여전히 학습을 위해 통제된 환경과 그룹 기반 정보 전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선형적으로 진행되며, 수업은 명확한 끝점으로 나뉘고, 전체 과정은 평가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우리는 낡은 발달 모델(예: 장 피아제(Jean Piaget)의 인지 발달 단계)에 의존하고, 학습을 측정할 때 실패 중심 사고(failure-focused mindset)를 사용합니다. 즉, 학생들의 발달 속도와 지식의 깊이를 주로 연령 기반 단계로 정의된 기대 평균치에 따라 판단합니다. K–16 교육 환경에서는 이러한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발달이 뒤처졌다”고 평가되며, 직장이나 군대 환경에서는 뒤처진 사람들이 무능력하거나 동기 부여가 부족하거나 성격상의 결함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우리는 성과를 기준으로 성적을 부여하고, 시간적 요소(예: 학점 시간, 수업 출석)와 단일 고위험 시험(예:중간, 기말, 수능 등)을 기준으로 교육 체계에서의 진행 단계를 결정합니다. 이와 유사하게, 우리는 전략적 수준의 커리큘럼 결정도 이러한 목표를 기반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수업 시간 증가나 과제 수행 시간 확보를 목표로 삼고, 더 많은 학습 시간이 더 나은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그러나 데이터에 따르면, 학생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비교육적 동화 시간과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며, 학습은 맥락에 기반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과 다양한 정보 채널을 통해 끝없이 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있지만, 이 정보들이 정리되거나 필터링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들은 원하는 정보를 언제든 찾아 배울 수 있는 환경이 되었지만, 이런 상황이 오히려 깊이 있는 이해로 이어지기보다는 단순히 표면적인 정보만 아는 데 그칠 위험을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주제에 대해 많은 사실들을 알게 될 수는 있지만, 그 정보들을 연결하거나 큰 그림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우리는 주로 학생들을 교실이라는 통제된 환경에 배치합니다. 여기서는 교사나 커리큘럼 설계자가 정보를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필터링하며, 학습 목표가 명확히 정의되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정보가 제공되며, 학습 속도도 조정됩니다. 또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전달 과정을 지원할 누군가가 항상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지난 100년 동안 학습에서의 많은 개선이 이루어진 곳이기도 합니다. 많은 교육 이론의 발전이 이처럼 공식적인 학습 환경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교사와 관리자들은 이러한 발견을 교실 현장에 반영하려 노력해 왔습니다.
그러나 학습은 교실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학교 밖 세상은 무한한 학습 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지만, 동시에 엄청난 데이터의 홍수, 의심스러운 사실들, 서로 연결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에 노출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역할은 학습자인 개인에게 있으며, 정보의 가치를 판단하고 이를 다른 데이터나 경험과 연결하는 책임이 학습자에게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의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환경에서는 유용한 지식을 종합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기억하며,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이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정보 과부하는 심각하고 점점 커져가는 문제입니다. 사람들은 점점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끊임없이 접하게 됩니다. 너무 많은 데이터에 노출되면, 인간의 뇌는 가장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익숙한 요소에만 집중하고 나머지는 버리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인간이 집중력을 유지하고 감정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방식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데이터 과잉 환경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잘못된 정보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를 기억하게 만들 수도 있으며, 이는 개인과 집단 모두에게 잘못된 판단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처럼 세계가 점점 더 불안정하고, 불확실하며, 복잡하고, 모호한 환경으로 변해감에 따라, 우리는 사람들이 단순히 오늘날의 교실만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글로벌 환경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방식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준비는 18세나 25세, 심지어 100세에서도 끝나지 않습니다. 평균 수명의 증가와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서는 평생 학습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매년 새로운 발명품들이 등장하며 산업을 만들거나 사라지게 하고, AI는 근본적으로 일의 본질을 바꾸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수명 연장과 직장-직원 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단순히 직장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다른 직업으로 전환하는 일이 평생 여러 번 발생할 것입니다.
따라서 학습의 시간 범위를 K–12(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나 전통적인 고등 교육 및 직업 교육을 넘어 확장해야 합니다. 이런 공식적인 발달 교육 형태는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앞으로는 30세에서 65세 사이의 시기에 더 많은 학습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제 기존 교육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을 벗어나, 기초적인 과학적 원칙을 바탕으로 새로운 학습 모델을 재구상할 때입니다. 이 새로운 모델은 평생에 걸친 학습을 포괄하는 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평생 학습에 대한 비전
우리의 평생 학습 비전은 보다 자연스러운 관점에서 출발합니다. 학습이 언제 어디서나 이루어진다는 점을 인정하며, 학습은 교실에서, 온라인에서, 집에서, 그리고 삶의 경험을 통해 끊임없이 일어납니다. 학습은 개인적이며, 각 개인의 고유한 성격, 관심사, 기술, 특성, 환경, 신념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집니다. 또한 학습은 유동적이며 비선형적입니다.
산업시대 과거 | 미래 | |
---|---|---|
주로 인지적·심리운동적 영역의 지식 및 기술 숙달. | 초점(Focus) | 인지적,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측면을 통합한 전인적 성장. |
전문가적 권위를 가진 학습 디자이너 및 감독자. | 교육자(Educator) | 연결된 네트워크 안에서의 촉진자, 멘토, 코치. |
구조화되고, 종종 수동적이며 선형적인 학습, 결과 중심의 평가. | 경험 (Experience) | 더 개인화되고 능동적인 학습, 형성평가에 대한 강조 강화. |
단편적이고 나이 기반의 학습 (초중등 교육, 고등교육, 직업훈련 등). | 시기 (Timing) | 지속적인 평생 학습, 다양한 경험을 통합한 학습. |
제한된 접근 방식, 대면 또는 온라인 학습 중 하나로 제한. | 접근성 (Access) | 더 다양하고 혼합된 선택지 제공, 진정한 “언제 어디서나” 학습 가능. |
주로 공식 학습에 초점을 맞춘, 분리된 시스템. | 기술 (Technology) | 상호 연결된 생태계로서의 분산 시스템. |
여러 학문 분야가 각각 고립된 패키지 형태로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개념들이 함께 연결되어 학습될 수 있습니다. 학습은 유연성을 지니며, 사람들은 자신의 고유한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개별화된 학습 경로를 통해 성공을 이룰 수 있습니다. 이는 학습자를 제한된 “인정된” 발달 상자 안에 가두는 방식에서 벗어나는 것입니다.
학습은 총체적이어야 합니다. 미래의 학습 경험은 단순히 인지적 영역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발달을 포함하는 전인적(person-centered) 접근을 강조하게 될 것입니다. 교육은 사람들을 단순히 현재의 K–12 체계와 같은 선형적인 과정을 통과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미래에서도 번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방향으로 설계될 것입니다.
4가지 핵심 원칙: 평생학습, 전인적, 보편적, 자산 중심
우리의 평생학습 모델은 다음의 4가지 주요 원칙을 포함합니다.
첫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학습을 연속적이고 평생 지속되는 경험으로 간주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학습을 유아기, K-12(초중등교육), 그리고 고등교육 또는 직업훈련과 같은 단계적 발달 과정으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미래에는 학습이 끊임없이 진행되는 과정으로,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지속적으로 종합하는 것으로 인식될 것입니다.
둘째, 학습은 단순히 인지적 발달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대신, 학습은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기술, 속성, 역량 간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셋째, 학습은 공식적인, 비공식적인, 그리고 비형식적인 활동의 조합을 포함합니다. 오늘날에는 주로 공식적인 환경에서 습득하고 유사한 구조에서 평가된 지식과 기술만을 측정하고 인증합니다. 그러나 미래에는 삶의 경험과 독립적이고 비형식적인 학습도 공식 학습만큼, 또는 경우에 따라 그 이상으로 측정되고 인정받게 될 것입니다. 학습과 경험을 측정하는 능력이 향상되면, 개인의 경험을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그들이 알고 있는 것, 이해하고 있는 것, 그리고 성취할 수 있는 것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모델은 자산 중심(asset-focused) 모델이지 실패 중심(failure-focused) 모델이 아닙니다. 이는 모든 연령대의 학습자를 현재 위치와 미래 성장 가능성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각 원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룹니다.
OECD 학습 프레임워크 203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학습 프레임워크 2030은 미래의 교육 시스템을 위한 비전과 기본 원칙을 정의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작업으로, 이 프레임워크는 전문가, 학교 네트워크, 교사, 학생, 청소년 단체, 학부모, 대학, 지역 단체, 그리고 사회적 협력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에 의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의 비전은 모든 학습자가 온전한 개인(whole person)으로 성장하여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전 세계의 복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현재 프레임워크는 다음의 사항들을 강조합니다:
• 급변하는 세계와 다양한 글로벌 도전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
• 혁신, 책임, 그리고 인식을 위한 새로운 변혁적 역량
• 학습자 주도성(learner agency): 평생 동안 자신의 교육에 대한 책임을 지는 능력
• 새로운 지식, 기술, 태도, 그리고 가치를 포함한 광범위한 역량
• 개인적 및 집단적 교육 목표를 통한 웰빙 추구
• 생태계적 변화를 위한 설계 원칙
1. 학습은 평생 지속된다
비록 뇌의 90%가 6세까지 발달하지만, 학습은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며 뇌의 능력에 계속 영향을 미칩니다. 물론, 유아기 경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에 대한 연구는 뇌가 정보를 다시 연결하거나 뇌 손상으로 인한 외상을 보완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즉, 사람들은 외상으로 인해 잃었던 기술을 습득하거나 되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 발달이 평생 동안 지속된다는 상당한 증거도 있습니다. 비록 나이가 들수록 피질 두께, 질량, 연결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성인은 삶의 경험을 통해 얻은 상호의존적 신경 메커니즘을 활성화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어린 시기에 뇌가 가장 빠르게 발달하지만, 학습은 평생 동안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행동에 의해 형성됩니다.
사람들이 무엇을 얼마나 배우는지는 미시적(micro) 및 거시적(macro) 수준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 미시적 요인: 개인의 선택, 동기, 그리고 특히 공식 교육 환경 외부에서의 자기 조절 능력.
• 거시적 요인: 학습자가 속한 이웃, 사회, 그리고 문화.
이러한 요인들 중 일부는 성인이 학습에 특히 적합하도록 만듭니다.
• 명확한 관심사와 목표, 그리고 높은 자기 인식은 개인적 성장에 유리한 시기를 제공하며, 종종 학습에 대한 더 큰 동기를 부여합니다.
• 또한, 성인은 더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더 깊고 효율적으로 종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학습의 통제권을 성인에게 맡기면, 학습이 지나치게 제한적이고 특정 과제에만 국한된 형태로 집중될 위험이 있습니다. 학습의 포괄적인 관점을 보호하고 지원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전체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에서 각 요소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가 부족한 채, 고립된 지식 커뮤니티 내에 깊이 박힌 전문가들이 나타날 위험이 있습니다.
2. 평생 학습은 전인적(person whole-person) 발달을 포함해야 한다
삶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은 단순히 개인의 인지적 능력이나 교육 수준에만 의해 결정되지 않습니다. 대신, 회복력(resilience), 동기(motivation), 환경(circumstance), 경험(exposure), 메타인지(metacognition), 자기 조절(self-regulation) 및 기타 개인적 속성들이 삶을 헤쳐나가는 능력에 기여합니다.
이 관점은 다음의 연구 결과로 더욱 강화됩니다: “뇌 발달과 인지, 그리고 피질 영역 간의 연결성은 문화적, 사회적, 정서적 요인과 학습의 다양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조직된다.”
즉, 전인적 발달은 반드시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역량을 포함하며, 이는 다시 문화적 시스템의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직업을 위해 사람들을 훈련시키고 있습니다.
James Robb
Rear Admiral, U.S. Navy (Ret.)
President, National Training and Simulation Association
하버드의 60년 커리큘럼(60-Year Curriculum) 이니셔티브는 학습과 교육 과정을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장려합니다. 이 이니셔티브는 사람들이 직장 생활 내내, 그리고 종종 은퇴 이후까지 학습한다는 점을 인정합니다.
이 문제는 우리가 바라보는 더 큰 영역의 일부일 뿐입니다. 충분히 주목받지는 못하지만, 우리 경제와 시민 건강에 있어 중요한 부분입니다. 우리는 세상이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하며, 첫 번째 직업이 실패로 끝났다고 해서, 사람들을 도움 없이 방치하지 않아야 합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상황을 지원할 메커니즘이 없었습니다.
현재는 K-12 교육, 고등교육, 은퇴가 주목받고 있지만, 직업 전환 시기에 세상이 당신을 돕지 않는다면, 이는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 됩니다. 최근 우리는 15세에서 75세까지의 교육 개념에 초점을 맞춘 컨퍼런스를 개최했습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 기간을 사람들이 지원받는다고 느끼는 인생의 다른 시기로 만들 수 있을까? 실업 보험이 필요할까?”
우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연구자가 되고 싶은지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지 확신이 서지 않을 때, 내가 무엇을 먼저 하고 싶은지 스스로 알 수 있을까?”라는 상황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런 대화가 없었지만, 지금은 완전히 다른 시대가 되었습니다.
Christopher Dede, Ed.D.
Wirth Professor in Learning Technologies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전인적 학습 패러다임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새로운 학습 모델과 발달 이론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인간 발달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아기와 청소년기와 같은 삶의 초기 단계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그러나 이제 교육을 초기에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모델에서 벗어나, 평생 학습이라는 개념으로 이동하면서,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연구를 확장해야 합니다.
• 성인 학습을 포함한 평생 학습 연구
• 변화하는 사회적 조건에 대한 탐구
•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보다 전인적인 역량을 개발하려는 목표.
인지 발달
성숙한 인지 및 학습 이론이 이미 존재하지만, 미래의 평생 학습 모델 내에서는 이를 확장하고 재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지 발달에 대한 논의는 주로 장 피아제(Jean Piaget, 1936)와 레프 비고츠키(Lev Vygotsky, 1978)가 제시한 기초 이론으로 돌아갑니다.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은 어린아이가 감각운동 지능(sensorimotor intelligence), 전조작적 사고(preoperational thought), 구체적 조작(concrete operations), 그리고 마지막으로 형식적 조작(formal operations)을 발전시키는 네 가지 중요한 단계를 정의했습니다. 특히, 마지막 단계는 11세부터 성인기까지 이어지며, 이 단계에 도달한 사람들(피아제에 따르면 모두가 도달하는 것은 아님)은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제는 학습이 평생에 걸쳐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이 단계 이후에는 무엇이 일어나는지 질문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 발달 이론은 이에 대한 일부 답을 제공합니다. 이 이론은 사회적 및 문화적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으로 구축되는 과정을 통해 개인이 개별적 사고로 나아가는 여정을 중심으로 합니다. 개인은 자기조절 도구(self-regulatory tools)(예: 자기대화)를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을 관찰하거나 지시를 받음으로써 학습합니다.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 모두 자기발달(self-development)과 지도된 학습(directed learning)의 상호작용을 인정하지만, 이들은 상반된 관점을 취하며, 평생에 걸친 발달이나 학문 간, 경험 간, 그리고 공식적/비공식적 학습 간에 걸친 메타스킬(meta-skills)의 습득은 다루지 않습니다.
오늘날 학생들이 미래를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주된 이유는 어린 시절 충분한 경험을 쌓지 못하거나, 이후 학습의 기초가 되는 언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교사나 지도자들이 학생들에게 가지는 기대치가 충분히 높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일관되고 더 높은 기대 수준이 요구됩니다.
더욱이, 기술은 인간의 인지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 데이터 저장과 같은 “하위 수준의” 인지적 작업을 컴퓨터에 맡기고, 방대한 양의 정보를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방식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며, 언제 어디서나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가능성은 인간의 인지 발달을 시간과 규모 면에서 기하급수적으로 가속화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뇌가 유한한 작업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다면, 컴퓨터는 이를 확장하여 사람들이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하고 동시에 더 넓은 정보를 소화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인간은 삶의 경험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컴퓨터가 시뮬레이션된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우리가 직접 경험하지 않은(unlived experiences) 경험을 통해 더 짧은 시간 안에 더 많은 경험을 축적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는 단순히 정보 접근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넘어, 인간의 뇌 구조와 신경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며, 인지 발달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평생 동안 계속 발전하고 학습할 수 있지만, 새로운 세대가 태어날수록 이전 세대가 축적한 지식과 경험에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을 더욱 누리게 될 것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단계 이론은 이제 극복되었지만, 인지 발달이 인간의 자연적 능력 형성과 사회적·역사적 영향의 혼합물이라는 기본 믿음은 여전히 옳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예측하지 못한 것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 능력이 얼마나 확장될 수 있는가였습니다.
미국인들의 회복력을 더 이상 키우지 않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아주 어린아이, 심지어 생후 6개월 된 아이들부터 시작됩니다. 예전에는 아이들에게 숟가락과 냄비를 주었고, 아이들은 주어진 도구로 창의력을 발휘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아이들에게 주어지는 장난감은 각기 단일 기능만을 가진 장난감입니다. 이러한 장난감들은 이미 정해진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제공함으로써 우리는 아이들의 창의력을 빼앗고 있습니다.
회복력(resilience)은 단순한 강인함(fortitude)이 아닙니다. 어려운 상황에서 스스로 길을 찾아내는 창의력입니다. 또한, 회복력은 개인적인 요소에 국한되지 않으며, 사회적이고 감정적인 측면도 포함합니다. 감정을 숨길 수도 있지만, 그것은 불편함을 초래할 뿐입니다. 대신, 우리는 감정을 관리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화를 내야 할 때와 그렇지 않아야 할 때를 구분할 줄 알고, 그 차이를 이해해야 합니다.
사회적 발달
인지 발달 모델과 마찬가지로, 평생 학습 패러다임은 사회적 발달 이론도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요구합니다. 사회적 발달 연구는 주로 어린 연령대나 특수 필요가 있는 인구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어린 사람들의 사회적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임은 분명하지만, 연구자들은 이러한 집단에 초점을 맞추는 동안 성인 인구와 평생에 걸친 사회적 학습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기울여 왔습니다.
물론, 대인관계와 직업 관련 기술에 관한 연구는 존재하지만, 평생 동안의 사회적 성향, 변화, 성장, 목표에 대한 연구는 더 많은 주목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평생 학습 모델에서는 정규 교육이 이러한 기술을 어린 시절뿐만 아니라 인생의 후반기까지 포함하도록 진화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이 미래에는 이력서에서도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최근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에 게재된 20년간의 회고적 연구에 따르면, 공유와 협력과 같은 사회적 역량(social competence) 특성이 높은 참가자들이 더 높은 학력을 성취하고 더 나은 보수를 받는 직업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만약 우리가 단순히 노동자를 양성하는 것에서 벗어나 인간을 온전하게 성장시키는 것, 즉 다양한 삶의 경험 속에서 성공할 수 있는 개인을 개발하는 것으로 초점을 전환하려 한다면, 사회적 기술은 홀리스틱(hollistic) 모델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평생에 걸친 사회적 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키우는 방법을 찾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술을 갖춘 개인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까지 포함합니다.
감정 발달
캐롤린 사르니(Carolyn Saarni)가 개발한 감정 발달 모델은 감정적 행동, 인지, 그리고 조절 기술의 집합으로 감정적 능력을 측정하며, 사람들이 사회적 환경에서 시간에 걸쳐 이러한 능력을 발전시킨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기술에는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상황적 및 표현적 단서를 기반으로 타인의 감정을 식별하고 이해하는 능력, 그리고 자기 조절 전략을 사용해 고통스러운 감정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됩니다. 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의 모델과 유사하게, 사르니의 모델은 발달 과정을 단계로 구분하며, 어린 시절부터 청소년기까지의 발달만을 다룹니다. 그러나 평생 학습 모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성인의 감정 발달 및 개인의 정서적 웰빙(예: 정신 건강,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모든 연령대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학업, 사회 및 감정 학습 협력기구(Collaborative for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는 내적, 대인 관계, 그리고 인지적 역량을 통합한 더 강력한 모델을 제안합니다. 이 모델은 다양한 행동, 사고방식, 전략 및 기술을 포괄하는 다섯 가지 주요 영역을 포함합니다.
• 자기 인식(Self-awareness): 예를 들어, 정확한 자기 인식과 자기 효능감
• 자기 관리(Self-management): 예를 들어, 충동 제어
• 사회적 인식(Social awareness): 공감과 존중을 포함
• 관계 기술(Relationship skills): 팀워크와 의사소통 등
• 책임 있는 의사결정(Responsible decision-making): 반성과 윤리를 포함
연구에 따르면, 초기의 감정 조절 능력은 나중 삶의 발달과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감정 조절은 교실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기술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어린 시절에 개발된 감정 조절 및 대인 관계 전략은 학교 시스템을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며, 나아가 이러한 기술은 학업 지식 자체보다 삶에서 성공하기 위한 핵심 도구가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기술을 가르칠 수 있을까요? 많은 증거는 그렇다고 제안합니다. 사회적 및 감정적 기술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면 더 나은 대인 관계 기술과 반사회적 행동 감소를 가져오며,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도 향상됩니다.
끊임없는 변화와 여러 경력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서 요구되는 지적 학습은 상당한 감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는 지속적인 가속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이를 따라잡으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혼란 속에서도 사람들이 번영할 수 있도록 우리가 제공해야 할 기초는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일부 답은 팀워크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크게 높이는 것에 있습니다. 이는 군대에서 매우 깊이 연구하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팀은 집단이 방어를 구축하는 완충 역할을 합니다.
Christopher Dede, Ed.D.
Timothy E. Wirth Professor in Learning Technologies in the Technology,
Innovation, and Education Program, Harvard University
사회적 및 감정적 발달과 성과 간의 상호작용은 이치에 맞습니다. 예를 들어, 학습 중에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방해 요소(내적 불안, 스트레스, 개인적 또는 직업적 문제 포함)는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고 기억하는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 감정 조절, 회복 탄력성, 그리고 끈기는 학습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의사 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에 개발된 감정 조절 기술은 장기적인 기능을 향상시키며, 시간, 경험, 그리고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더욱 발전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능력이 성인기의 성과와 평생 학습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더 자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기술을 삶에서 연마하기 위한 개선된 발달 측정 기준과 교육적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신체 발달
운동 및 신체 발달에 대한 공식적인 연구는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때 의사들은 영아의 몸무게를 측정하여 적절한 성장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시작했습니다. 본격적인 연구는 1970~8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평균적인 운동 발달, 개인 내부 및 외부의 제약, 그리고 운동 기술을 지원하고 개선하며 향상시키는 것의 이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진전을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다른 발달 영역과 마찬가지로, 신체 발달에 대한 많은 연구는 주로 유아기와 장애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스포츠 선수나 군인과 같은 특수 집단에 대해 독특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정 그룹을 넘어, 일반적인 신체 성숙과 운동 기술 및 연습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으며, 이러한 상황은 점차 변화하고 있습니다.
사회나 문화적으로 학습을 평생 지속되는 노력으로 다시 구상한다면, 우리는 많은 아이들을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성적 체계에서 벗어나 학습을 “나는 지금 이것을 숙달했거나, 아직 숙달하지 못했다”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교육은 개개인에 맞춰져야 합니다.
Michelle Cottrell-Williams
Teacher, Wakefield High School, 2018
Virginia State Teacher of the Year
신체 발달, 인식, 건강, 웰빙은 장기적인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점점 더 발전하는 연구 방법론과 새로운 기술 덕분에, 성인이 되기까지 그리고 성인기를 넘어 신체가 어떻게 발달하는지, 신체 능력을 어떻게 갈고닦을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감정적 안정성, 사회적 능력, 인지 발달과 같은 다른 발달 영역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동시에, 웨어러블 장치와 양적 자기(quantified self)라는 개념은 신체 활동을 개선하고 각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대한 열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개인이 이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맞춤형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과 신체 활동에 대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의 의료적 이점은 아직 사회적 수준에서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으며, 올림픽 운동 훈련과 같은 특정 통제된 환경 외부에서 인간의 운동 능력을 최적화하는 데 완전히 활용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연구가 계속됨에 따라, 평균적이고 평생 지속되는 일반적인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신체 및 운동 발달 이론이 등장할 가능성은 충분합니다. 이러한 이론은 인간-기술 상호작용, 신체 발달의 사회적 영향과 과정, 심신적 문해력(psychophysical literacy), 그리고 운동 발달과 사회적, 감정적, 인지적 발달 간의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포함할 것입니다.
인간의 능력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전체론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행동이 다양한 맥락에서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철학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전인적 발달 모델에서 중요할 것입니다. 신체적 자아를 포함하여, 자신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은 더 전체론적이고 개인화된 발달 경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 학습은 어디에서나 이루어진다
평생 학습은 모든 학습 단계와 삶의 모든 시기를 포함하며, 학교에서 직장, 가정, 그리고 지역사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집니다. 평생 학습 활동은 공식적인 환경(예: 대학에서 제공하는 강좌), 완전히 구조화된 기관 외부의 비공식적인 환경(예: 모임에서의 워크숍), 그리고 비공식적이고 자발적인 방식(예: 동료와 대화하거나 소셜 미디어 게시글을 읽으면서)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현재도 학습은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언제 어디서나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는 주로 공식적인 학습 경험만을 기록하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가치 있게 평가해 왔습니다. 하지만 비공식적이고 경험적인 학습은 개인이 지식을 습득하고, 통합하며, 이를 적용하는 능력에 동등하거나 심지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과학, 기계 학습, 그리고 상호운용 가능한 데이터 표준의 발전은 우리가 경험을 측정하고 분류할 수 있는 능력을 열어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실제 기술 수준과 다양한 환경 및 지역사회에서의 실제 수행 능력을 더 잘 포착하고 전달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어디에서 무언가를 “배웠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 학습이 실천으로 전이되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학습이 어디서나, 언제나 이루어진다는 생각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다만, 이를 측정하고 전달(예: 역량 배지와 자격 인증을 통해)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앞서 언급된 전인적 원칙과도 연결됩니다. 즉, 다양한 기술이 개인의 세상에서의 성공에 기여합니다.
누적형 자격(Stacked Credentials): 예를 들어, 경영학 분야에서 학생이 세 과정을 수강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이수하면 재무(finance) 분야의 인증서를 받습니다. 그런 다음, 이를 성공적으로 마친 후 마케팅(marketing) 과목에서 세 과정을 더 이수해 또 다른 인증서를 받습니다. 이후 이 인증서들을 조합하여 개인화된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학생들이 자격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취득할 수 있게 하며,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David Munson, Ph.D.
President,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예를 들어, 군대에서는 끈기(grit)와 회복 탄력성(resilience)에 대해 많이 이야기하고, 고등교육에서는 집행 기능(executive functioning)과 균형 잡힌 성격(well-roundedness)을 언급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능력은 성적표나 인사 기록에서 거의 측정되거나 보고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능력의 실제 상황에서의 적용을 평가하고, 다른 삶의 경험에 대해 “인정”을 부여하는 것은 개인화된 학습 경로를 창출하고, 미래의 인재 관리를 개선하며,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 평생 학습은 자산 모델(asset model)을 적용해야 한다
발달 심리학에서 자산 모델은 개인의 독특한 강점을 인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역량을 추가적으로 개발하는 접근 방식을 말합니다. 이는 개인의 약점을 강조하고, 집단 평균과 비교하는 결핍 모델(deficit model)과 비교됩니다.
자산 모델을 사용하는 것의 이점은 여러 가지입니다.
첫째, 심리적 이점이 있습니다.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초점을 맞출 때, 에너지 증가와 향상된 결과로 이어집니다. 이는 스포츠 심리학에서 경기력과 관련하여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이를 교실이나 회의실에서도 직접 적용할 수 있습니다. 사람을 계속해서 “고치려는” 대신, 최적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훨씬 더 격려적입니다.
둘째, 자산 모델은 전인적 발달(whole-person development)을 지원하는 데 유리합니다. 자산 모델은 평균적이고 규범 기준으로 측정된 평가에서 벗어난 기술과 특성을 포함하기에 더 적합합니다. 성공의 다른 요인들을 고려함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기술들을 더 잘 인식하고, 개발을 지원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게 도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산 모델은 지속적이고 평생 학습에 초점을 맞추는 데 더 효과적입니다. 이 모델의 구조는 각 단계에서 성공을 정의하면서도, 무한히 많은 기술과 역량을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학습자와 교육 시스템 모두를 재구성함으로써, 우리는 단순히 산업화된 국가에 적합한 노동자를 양성하려는 데 그치지 않고, 각 개인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집중할 수 있습니다.
구현
이전 섹션에서는 미래의 평생 학습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그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를 제안합니다.
다양한 이론을 활용하여 교육 설계를 구체화하십시오.
평생 학습은 시간, 공간, 목적, 매체, 그리고 형식성을 아우르는 학습을 의미합니다. 이 전략적 수준의 개념을 교실, 워크숍, 훈련, 경험 학습 및 기타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활동에 적용할 전술적 개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교육 설계, 정보 관리, 교육 심리학과 같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론적 접근 방식을 통합적으로 구현해야 합니다.
콘텐츠-특정 학습, 콘텐츠-중립 학습, 그리고 사회적·정서적 학습을 결합하십시오.
인간 발달을 전인적으로 다루기 위해 교육의 초점을 재설정하려면, 교육 요건에 변화를 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미 빡빡한 일정에 더 많은 요건을 추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대신, 공식 교육 및 훈련 구조를 재편하고,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영역의 다양한 기술을 동시에 개발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 옵션을 활용해야 합니다. 자기 조절과 집행 기능과 같은 메타 기술을 위한 콘텐츠-중립 학습 전략도 동시에 학습해야 합니다. 주제 간 기술, 콘텐츠, 연결성을 층층이 쌓는 방식이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 모두에서 예외가 아니라 표준이 되어야 합니다.
기술을 상호운용 가능하게 만들어 학습 데이터를 측정하고 연결하십시오.
평생 학습의 비전은 부분적으로 학습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의존합니다. 이를 위해, 공식적, 비공식적, 경험적 학습에 적합한 측정 기준을 정의해야 하며, 이를 지원하는 상호운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이 시스템은 시간, 공간, 커뮤니티 전반에 걸쳐 데이터를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통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이 “학습을 위한 인터넷”은 개인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승인된 기관이 평생 동안 이러한 데이터를 접근하여 개인화된 학습 경험과 발달 경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학습 과학을 활용하여 평생 학습 시스템을 최적화하십시오.
학습은 특정한 교수 및 평가 원칙과 같은 교수 원칙을 활용하여 향상될 수 있습니다. 앞선 장(3장)에서 설명했듯이, 기존의 많은 교육 이론은 증거 기반 교수와 평가를 지원하는 잘 문서화된 모범 사례를 이미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 시스템, 상호작용하는 미시적 및 거시적 요인, 그리고 시간, 공간, 목적에 걸쳐 이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국방부(DoD)는 18~19세 연령대에 초점을 맞추는 데 그쳐, 더 어린 연령대의 아이들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국방부에 아이들이 도달했을 때는 이미 회복 탄력성(resilience) 문제를 다루며, 문제에 임시방편으로 대응하는 상황이 됩니다. 우리는 새로운 무기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20년을 투자하지만, 현재 초등학교 2학년에 있는 아이들은 10년 후 국방부에 들어오게 됩니다.
국방부가 해야 할 첫 번째 일은 학습을 연속체(continuum)로 간주하고, 민간 교육도 포함하도록 고려하는 것입니다. 사회적·정서적 학습(social emotional learning)과 집행 기능(executive functioning)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국방부에 도달하기 전에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가 존재합니다.
Russ Shilling, Ph.D.
Chief Scientific Officer,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Former Senior Innovation Fellow, Chan Zuckerberg Initiative; Former Executive
Director of STEM, U.S. Department of Education; Former Program Manager,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U.S. Navy Captain (Ret.)
개인화된 교육 경로와 발달 경험을 수용하려면, 정보가 흐르는 방식과 사람들이 시스템을 통해 진전하는 방식을 변경해야 합니다. 이는 중등 및 고등 교육, 직업 훈련, 인력 개발, 그리고 삶의 경험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기술 발전이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도록 내버려 둘 수도 있지만, 생태계를 전체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일 것입니다. 우리는 생태계 내 요소와 그들의 집합적 영향에 대해 증거를 수집하고, 모범 사례를 제안하며, 개인과 사회 전체에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요소들을 장려해야 합니다.
학습 과학, 즉 기존 연구와 탐구 원칙은 이러한 노력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이 더 큰 비전을 위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의지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너무 자주 근본적인 문제가 아닌 증상을 정의합니다. 문제를 찾아내기보다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혁신적인 무언가를 창조하려고 할 때,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문제와 증상을 명확히 구분하는 데 신경을 써야 합니다.
생태계라는 개념은 상호의존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기술적 생태계는 생물학적 생태계처럼 작동해야 합니다. 동시에, 모든 구성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이는 사람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이런 솔루션은 종종 인간과 사용자를 염두에 두지 않고 개발됩니다. 사람들은 기술을 개발할 때 항상 최종 사용자를 고려하지는 않습니다.
Jeffrey Borden, Ed.D.
Executive Director, Inter-Connected Education; Chief Academic Officer,
Ucroo Digital Campus; Former Chief Innovation Officer, St. Leo Colle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