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회차 스터디도 재밌게 들었습니다.
생성형ai는 결국 자연어로 코딩하는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코딩할때에는 라이브러리를 선언하고 각 변수들을 지정해서 함수를 이용해 진행하는데,
- 프로그램 목적 정의 = 목적
- 변수 선언 = 사전정보
- 함수 설정 = 역할 정의
와 같다고 생각하거든요.
때문에 위 내용들을 얼마나 맞춤형으로 디테일하게 작성하느냐에 따라서 내용의 질, 속도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생성형ai라는 거대 라이브러리로 사용함에 있어서
우리가 얼마나 그 내용을 파악하고 응용할 수 있느냐에 따라 어떤 결과를 출력할지는 천차만별 인 거죠.
(사용 언어는 한정되어 있지만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들이 상용화 된 것처럼)
때문에 엔지니어라는 이름도 붙는 것 같습니다.
저는 최근 이 생성형ai의 메모리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 생각엔 제 gpt가 제 데이터로 인해 많이 오염이 된 것 같다고 느끼는데 이를 초기화 하지 않고 어떻게 정리를 하면 좋을지 생각'만' 하고 있네요 ㅎㅎ